https://www.jobkorea.co.kr/goodjob/tip/view?News_No=18758&schCtgr=0&Page=1
한동안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 지 고민했었다.
지금까지 해온 커리어가 명확하지 않았기에 직무에서의 방향성을 찾지 못해 헤메고 있었다.
그러다 우연히 위의 글을 읽고 방향성을 정하게 되었다.
위 글을 요약하면 이렇다.
1. DBA 신입은 없음.
2. 그러나 무조건 필요한 직업임.
3. 웹 등의 개발자로서 경력을 쌓고 직무 변경하는 경우도 많.
4. 타 직무보다 진입장벽이 높으니 준비 잘해라.
위 중 3번째 부분을 읽고 내 방향성을 정하게 되었다.
지금까지 3년 조금 넘는 회사생활 중 내 커리어는 웹 개발(20%), ETL(60%), OLAP BI(20%) 등.. 그리고 현재 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웹개발..
이와같이 자유분방한 커리어를 가진 나는 웹개발자로 가야할지 ETL로 가야할지 하고싶은 DBA 공부를 해야할 지 고민이었는데..
웹개발자로서의 경력이 DBA 경력으로도 인정하는 경우가 있다는 말을 듣고 확실히 정했다.(사실 내가 DBA 공부를 하고싶어서 핑계를 찾고있었다.)
나는 DBA 공부를 할 것임.
이 글은 그 첫번째 글이 될 것이다.
앞으로 쭈욱 이어가면서 DBA 공부 하는 과정을 적고, 마지막엔 이직에 성공했다는 글을 적고싶다.
마지막으로 위 잡코리아 글에서 봤던 취득 추천 자격증을 적는다.
Oracle OCP(필수!), DASP, SQLD, ASDP 순으로 자격증을 추가로 준비!DASP : 전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음.SQLD :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SQL 작성 능력접근성은 SQLD가 더 편해 보이니 정 어려우면 SQLD를 먼저 해도 된단다.추가)SQLP, DAP 공부하자. OCP는 덤프라서 딱히 안쳐주는 것 같다.
튜닝관련 내용은 SQLP, 모델링은 DAP!
난 SQLP부터 할 계획이다. SQLD는 따보니까 의미가 없다. 이건 개발자용이다.
+ DBA는 3가지를 하는 직군이라 볼 수 있다.
1. 튜닝(튜너)
2. 모델링(DA)
3. DB 복구 및 트러블슈팅(DB 엔지니어)
각 번호당 전문직군이 분명히 존재한다.
다만 DBA는 세가지 일을 모두 하는 직군이라 볼 수 있다.
20240405 추가) SQLP -완- 이제 하반기 DAP 가자!